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경제

전북바이오, "한국 매운맛 과학적 표준화, 글로벌 경쟁력의 열쇠"

매운맛 뇌과학적 쾌감이 글로벌 소비자 사로잡아
표준화통한 한식 세계화 필요성 강조

(전북바이오=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원장 이은미)이 주최한 제11회 바이오지식포럼 '문샷(Moonshot)'이 지난 15일 전북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포럼에는 농생명·식품·바이오 분야의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매운맛의 과학적 이해와 글로벌 표준화 가능성'을 주제로 다양한 발표가 진행됐다.

 

포럼의 첫 번째 강연자인 김미나경민 전북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매운맛은 왜 다르게 느껴질까? 캡사이신 유래 매운맛의 감각 평가 과제와 개선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매운맛의 명확한 감각 평가 기준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조속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한섭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매운맛과 우리의 뇌"를 주제로, 매운맛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글로벌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했다.

 

곽 책임연구원은 "소비자의 마음으로 음식을 이해하는 과학자"로서 매운맛이 한국 식품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기업사례 발표에서는 진안군 소재 식품기업 마이푸드의 김창우 대표가 '자사에서 개발한 특허 기반 경량 맵도분석기'를 소개하며, 매운맛 판단의 주관적 어려움을 언급했다.

 

김 대표는 "객관적 기준이 없어 매운맛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감각평가 기준의 시급한 정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포럼에서는 또한 매운맛을 주력상품으로 하는 기업 관계자들이 사업화를 위한 애로사항을 경청하고 해결점을 논의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이은미 원장은 "매운맛은 한국을 대표하는 식문화 요소인 만큼 세계화를 위한 과학적 표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사업화 애로를 해결하기 위한 공론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전화 : 010-6886-5000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경제(이상선 기자)를 구독해주세요!

배너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전북+실시간=기자위에 먼저쓰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