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국민연금공단이 한국수자원공사와 손잡고 수도사용 데이터를 활용한 국민연금 수급자 돌봄 강화에 나섰다.
양 기관은 지난 15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도 사용량을 분석해 수급권 변동 여부를 확인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공단은 수도 사용량이 급감하거나 장기간 사용이 없는 수급자를 찾아내어 확인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자진신고, 병원 진료내용, 안내문 반송 여부 등을 통해 점검하던 기존 방식에 더해, 수급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필수 수단인 수도사용 데이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고령 수급자를 발굴하고 생필품지원, 말벗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상수도 관리를 위탁받은 22개 지방자치단체 중 고령 수급자 비율이 높은 정읍시, 경남도 거제시 등 5개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공단은 매월 수도사용 정보를 수집·분석해 분석의 정확도와 정보 활용도를 높이고, 대상 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태규 공단 연금이사는 "이번 협약이 국민연금 급여의 정확한 집행뿐 아니라, 사회적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데이터 기반 복지 모델로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과 협력을 통해 수급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복지 향상을 도모하는 제도적 기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