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전주시, “자광 개발사업에 휘둘리나?"

자광 개발사업 분양가 논란 확산
전북환경운동연합·한승우 시의원, "공적개입 필요"

(자광=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주시 옛 대한방직부지 개발사업이 지역 사회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주)자광은 지난 8일 3400세대 규모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관광전망타워를 포함한 복합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예상 분양가를 평당 25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전주시 역사상 최고 수준의 분양가로, 전북지역 부동산 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4일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한승우 전주시의원은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광 개발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공적 개입을 요구했다. 

 

이들은 "전주시를 아파트 투기장으로 만들 셈인가"라며 자광을 강력히 비판하면서, 초고가 분양가가 주거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실수요자의 주택 진입 장벽을 높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자광의 분양가가 전주시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청년과 무주택자들에게는 더 큰 부담을 안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광은 올해 하반기 관광타워 복합개발 착공을 목표로, 전주시는 자광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자광의 높은 분양가는 지역 부동산 시장에 급격한 변동을 일으킬 위험이 크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민들은 자광의 분양가 발표가 "실거래가와 괴리된 거품을 형성하고, 가격 조정기에는 급락 위험성도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전주시는 자광의 개발을 위한 용적률 상향 조정을 통해 개발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준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의 용적률을 각각 500%와 900%로 상향 조정하면서, 자광은 높은 건축물과 많은 세대 공급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용적률 상향이 자광의 개발 이익을 극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세 차익 환수는 미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전주시는 자광의 교통영향평가 대책 사업을 공공 기여금으로 전환해 자광에 대한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교통혼잡 해소계획은 개발자 부담으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주시는 이를 공공 기여금으로 전환해 자광에 특혜를 제공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특혜에도 불구하고 자광의 아파트 분양가는 지나치게 높아 지역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한승우 의원은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며, 전주시가 분양가를 포함한 도시계획의 공공성과 사업 추진의 투명성을 철저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분양가 산정 기준, 택지비용, 건축비 내역 등의 공개를 요구하며, 기존 특혜로 인한 이익을 환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주시는 대한방직 부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시민의 이익을 보호하고, 초고층 관광타워에 대한 동시준공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끝으로 "자광의 고분양가 문제를 해결키위해 시민의 삶과 도시의 미래를 고려해 시의 권한인 대한방직 지구단위계획 변경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면서 초고층 관광타워에 대해 "동시준공 동시착공'을 약속한 만큼 승인 전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전화 : 010-6886-5000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제일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배너

관련기사

3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