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관원=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세계 최초 꿀벌 바이러스 유전자치료제가 상용화돼 농가에 공급되기 시작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제놀루션이 공동 개발한 '허니가드-R 액'은 꿀벌 낭충봉아부패병을 표적화한 치료제로, 지난해 6월 동물용의약품 품목허가를 획득한 이후 본격적인 상용화에 들어갔다.
13일 농관원 전북지원에 따르면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의 애벌레에 감염되어 높은 전염력과 큰 피해를 초래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꿀벌 개체수를 급감시키며 국내 양봉산업에 막대한 손실을 끼쳤다.
하지만 이번에 상용화된 유전자치료제는 RNA 간섭 기술을 활용해 바이러스의 핵심 유전자를 차단, 복제를 억제함으로써 꿀벌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RNA 간섭 기술은 이중가닥 RNA를 통해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 발현을 차단하는데, 검역본부와 ㈜제놀루션은 경구투여 방식으로 이를 꿀벌 체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세계 최초로 동물용 유전자치료제 품목허가를 받는 성과로, 현재 ㈜제놀루션은 국내 조달등록 절차를 추진중이며, 해외시장 출시도 준비하고 있다.
김정희 검역본부장은 "이번 치료제의 개발과 상용화가 국내 양봉산업 보호와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