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관원=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정부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전환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종합적 대응에 나섰다.
13일 농관원 전북지원에 따르면 농식품부, 환경부, 산자부 등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이 8월12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공동기획단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만드는 과정에서 품질 개선과 수요처 확충 등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가축분뇨는 기존에 퇴비나 액비로 활용돼 왔으나, 악취와 온실가스 문제로 새로운 처리방식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가축분뇨를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하는 고체연료화 방식이 주목받아 왔다.
고체연료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감축, 수질개선, 축산환경 개선, 재생에너지 공급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고체연료는 유연탄 같은 수입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이미 고체연료 시험 발전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이를 통해 산업 활용 가능성과 초기 수요를 확보했다.
그러나 대규모 활용을 위해서는 품질 개선과 생산시설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관련 다부처 연구개발(R&D)을 기획해 이번 공동기획단 출범을 통해 본격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공동기획단은 가축분뇨 고체연료를 재생에너지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기 위해 2030년까지의 목표를 세웠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다양한 현장 목소리를 수렴해 실효성 있는 방안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가축분뇨 고체연료가 지역 단위의 에너지 자립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