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센터=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지역 통신판매사업자 2만4818개소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전북소비자정보센터는 국세청 휴·폐업조사 및 전자상거래법에 따른 소비자보호 조치의 이행 여부를 점검한 결과 온라인 쇼핑몰의 청약철회 가능 비율이 29.5%, 구매안전서비스 정상 가입 비율이 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북소비자정보센터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도내 모든 통신판매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전북 14개 시·군의 행정지도 및 사업자 관리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통신판매사업자는 전년대비 2.1% 증가한 2만4818개소로, 이 중 정상영업 중인 사업자는 86.4%였다. 개별 쇼핑몰 중 접속이 가능한 곳은 4322개소에 그쳤다. 청약철회가 가능한 쇼핑몰은 1276개소로 7일 이상 청약철회가 가능한 쇼핑몰은 전체의 29.5%에 불과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사업자정보공개' 페이지와 연결된 쇼핑몰은 1,271개소에 불과해 정보 고지 의무 이행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안전서비스 가입도 저조한 상황이다. 조사 대상 중 2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북소비자정보센터가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의 위탁운영기관으로 선정되며 이달 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다. 이는 전북지역 최초 녹색구매지원센터로서, 전북자치도의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됐다.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는 전북소비자정보센터 내에 녹색제품 전시관과 사무실을 마련하고, 친환경 소비문화 형성을 위한 녹색소비교육, 도내 녹색소비 증대를 위한 유통매장 모니터링, 녹색제품 인증 전북기업 컨설팅 및 유통활성화 협력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녹색제품구매법에 따라 민간부문의 녹색소비 촉진과 녹색구매 활성화를 목표로 민관협력기관으로, 전국 11개 광역자치단체에 녹색구매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첫 활동으로 오는 8일 전북소비자정보센터에서 '녹색소비교육을 위한 강사양성 교육'을 개최한다. 이 교육에서는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의 주요 활동계획 안내, 녹색소비의 의미와 녹색구매지원센터의 역할, 교육대상별 녹색소비교육 방법론 및 사례실습 워크숍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 블로그를 통해 오는 6일까지 가능하다. 김보금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장은 "전북녹색구매지원센터의 개소는 전북소비자정보센터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