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은 15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한 국제 학술 토론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16일 농진청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사업'과 연계해 진행됐으며, 농촌진흥청의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센터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토론회에는 국제미작연구소(IRRI),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기구와 케냐 정부관계자, 종자관련 민간경영체, 농업인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첫 번째 분과에서는 아프리카 벼 품종 보급·자급 현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고, 두 번째 분과에서는 벼 종자생산 체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KOPIA의 사례가 공유됐다. 농진청은 이번 학술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26년도 K-라이스벨트 사업 세부 계획에 반영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과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아프리카 적응 다수확 벼 종자 공급을 통해 식량난 해결에 기여할 계획이다. 케냐 농축산연구청 엘리우드 키레거 청장은 "K-라이스벨트 사업이 케냐의 쌀 자급자족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하며, 한국과의 협력 강화를 희망했다. 농진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한국농어촌공사가 서아프리카 7개국 연수단을 비롯한 세계은행 및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관계자 39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쌀 자급화 경험을 전수했다. 이번 연수는 세계은행과 ECOWAS가 공동 주관한 '세계은행-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 한국 쌀 연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농어촌공사는 국제농업개발 현황과 선진 농업용수 관리 기법을 소개하고, 공사의 재난안전 상황 운영 프로그램을 공유했다. 서아프리카 지역은 도시화와 식습관 변화로 쌀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ECOWAS는 '2025-2030 지역 쌀 로드맵'을 수립해 쌀 자급률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의 선진 농업 정책과 인프라 개발 경험을 학습하기 위한 이번 연수는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농어촌공사는 이번 연수를 통해 농식품부의 국제농업협력사업인 '케이(K)-라이스벨트'를 중심으로 국제농업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케이(K)-라이스벨트'는 아프리카 국가의 쌀 생산성과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협력 사업으로, 2023년 가나에서 시작해 현재 7개국에서 8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앞으로 국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