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이 제주흑우 암소 30여 마리를 한라산 중산간 초지에서 오는 9월까지 시범적으로 방목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제주 흑우의 유전적 보존과 개체 증식을 목표로, 한라산 해발 500~800미터의 55헥타르 초지에서 생태 친화적 순환 방목을 실시한다. 제주 흑우는 검은 털을 가진 한우 품종으로, 기원전부터 제주지역에서 사육된 고유의 재래 가축이다. 이 품종은 조선왕조실록과 탐라순력도 등 고문헌에 기록될 만큼 역사적 가치가 높다. 제주 흑우는 한우, 칡소, 교잡우와는 다른 독자적 혈통을 보유하고 있어 유전적 보존의 필요성이 크다. 농진청은 방목을 통해 제주 흑우의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방목 시 축사사육 대비 에너지 소비가 15~50% 증가하며, 소의 근골격계 건강과 활력이 높아진다. 또한, 하루 약 60~70kg의 신선한 풀을 섭취할 수 있어 영양 공급이 충분하다. 방목 사육은 소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소화기 질병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밀집사육 대비 코르티솔 농도가 10~30% 낮아지고, 반추위 산증과 설사 발생률도 현저히 줄어든다. 김남영 농진청 국
(강원=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강원도 평창 대관령 초원에서 한우 암소 200마리가 올해 처음으로 방목 생활을 시작했다. 농촌진흥청이 주관하는 이번 방목은 29일부터 시작해 오는 10월 말까지 이어지며, 180헥타르에 달하는 드넓은 초지에서 한우들이 자유롭게 노닐 수 있도록 계획됐다. 이번 방목은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센터의 주도로 이뤄졌으며, 방목 대상은 임신하지 않았거나 젖을 뗀 암소들로 선발됐다. 한우연구센터는 국내 한우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방목은 그 일환으로, 한우의 자연적인 성장과 번식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농진청이 밝힌 연구에 따르면 방목 상태에서 사육된 한우는 축사에서 기른 개체보다 수태율이 약 3.5%, 분만율은 약 18.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 채광과 운동량 증가, 초지의 다양한 식물 섭취가 호르몬 분비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방목 사육은 한우의 건강과 번식 성적 향상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방목으로 인해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한우 번식우 1마리를 육성하는 데 드는 사료비가 전체 생산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