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관원=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정부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전환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종합적 대응에 나섰다. 13일 농관원 전북지원에 따르면 농식품부, 환경부, 산자부 등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이 8월12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공동기획단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만드는 과정에서 품질 개선과 수요처 확충 등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가축분뇨는 기존에 퇴비나 액비로 활용돼 왔으나, 악취와 온실가스 문제로 새로운 처리방식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가축분뇨를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하는 고체연료화 방식이 주목받아 왔다. 고체연료로 전환하면 온실가스 감축, 수질개선, 축산환경 개선, 재생에너지 공급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고체연료는 유연탄 같은 수입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이미 고체연료 시험 발전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이를 통해 산업 활용 가능성과 초기 수요를 확보했다. 그러나 대규모 활용을 위해서는 품질 개선과 생산시설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관련 다부처 연구개발(R&D)을 기획해 이
(전주=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한국전력 전북본부가 ESG 경영혁신 자문회의를 개최하며, 전력망 건설의 적기 추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29일 전력산업 주요 이슈와 현안을 외부 전문가들과 심층적으로 다루고, 전력망의 적기 건설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우호적인 여론 조성을 위한 전략을 모색키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언론인, 대학교수, 환경단체,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한전 전북본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전력망 구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성 문제와 갈등 해소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전북지역 내 전력수급 안정과 재생에너지 확대의 기반이 되는 전력망의 적기 건설 필요성이 강조됐다. 전북 계통운영 현황·전력망 건설 필요성, 전력망 건설 현황·향후 계획, 전력산업 관련 주요 현안,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현황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며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됐다. 연원섭 한전 전북본부장은 "올해의 경영 슬로건인 '안전 On!, 소통 溫!, Move On! 전북'처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객과 소통하고 변화하며 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