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충북 주요 사과 재배지인 충주지역의 과수화상병 보도에 대해 농촌진흥청이 반박에 나섰다. KBS가 보도에 따르면 과수화상병의 강한 전파력으로 인해 충주지역 사과 재배면적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고 전했으나, 농진청은 이 같은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2일 농진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수화상병으로 폐원한 사과 농가의 재식 금지기간을 단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2년까지는 재식 금지기간이 3년이었으나, 2023년에는 2년으로 줄였고, 2025년에는 18개월로 단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사과 농가의 부담을 줄이고, 보다 빠르게 재배를 재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충주지역 사과 재배면적은 2018년 1,898헥타르에서 2025년 955헥타르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총 943헥타르(50%)가 줄어드는 셈이지만, 과수화상병 발생에 따른 폐원 면적은 358헥타르로, 이는 2018년 재배면적의 18.8%에 해당한다고 농진청은 강조했다. 과수화상병이 전반적인 재배면적 감소의 주요 원인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또한, 농진청은 올해부터 7개소의 도농업기술원을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으로 지정해 현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이 과수화상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한 진단과 방제 체계를 강조하고 나섰다. 권재한 농진청장은 전국 6개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에 현행 진단과 확진 체계를 유지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통해 과수화상병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4월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경북 농업기술원을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으로 지정하고, 과수화상병 현장진단실 운영을 지원 중이다. 이곳에서는 시군농업기술센터가 간이 검사한 의심 시료를 재진단하여 확진을 내리며, 신속한 방제를 유도하고 있다. 권 청장은 충북농업기술원을 방문해 도내 11개 시군의 과수화상병 예찰 및 방제 현황을 점검했다. 또한, 미발생 지역의 과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현장 지도와 홍보 활동의 강화를 주문했다. 기존 발생지 반경 2km 이내를 상시 예찰하며, 가용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신속히 투입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올해 첫 과수화상병 확진 사례는 지난 5월12일 충북 충주에서 보고됐으며, 현재까지 21개 시군에서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