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5대 시중은행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가 3조∼4조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 소비자들이 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6·27 대책' 발표 이후 잠시 주춤했던 은행들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고 있어, 정부와 은행권의 강력한 대출규제 기조는 하반기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은 금융당국으로부터 하반기 새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요청받고 대부분의 은행은 당국이 언급한 지침에 따라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연초 설정했던 규모의 절반으로 줄였다. 이에 따라 5대 은행의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는 기존의 약 14조5000억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축소됐다. 특히, 은행들은 각자 상반기 실적에 따라 목표 축소율이 차등 적용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에는 목표 달성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은행권의 엄격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이어지면, 실수요자들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 문제는 이주비, 중도금, 잔금 등 집단대출에서도 은행들이 금리를 더 높게 제안하는 등 소극적
(정부=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정부가 수도권과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급증하는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새로운 규제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실수요가 아닌 대출을 엄격히 제한하는 것으로, 종전에 없던 새로운 규제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해 과도한 대출에 의존한 주택 구입을 막기 위한 조치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금리 인하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등의 요인으로 수도권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 이를 억제하기 위해 강력한 대출 관리 방안을 내놓았다. 이번 조치로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을 위한 대출이 금지되며, 무주택자도 실거주 목적이 아닌 경우 대출이 제한된다. 주담대 대출만기는 30년 이내로 제한되고, 갭투자 목적으로 대출자금을 활용할 수 없도록 규제가 강화된다. 또한,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게도 규제가 강화된다.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생애 최초 주담대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기존 80%에서 70%로 낮아지고,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가 부과된다. 정책대출의 경우도 대상별로 대출 최대 한도가 축소 조정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은 금융권을 통해 주택 구입을 하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