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고글루코시놀레이트 배추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나왔다. 이 배추는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이 일반 배추보다 10배 이상 함유된 걸로 알려졌다. 특히, 항암 성분으로 알려진 글루코라파닌과 글루코나스터틴이 풍부하다. 이번 연구는 경희대와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간세포와 동물 실험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됐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간경변과 간암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이 앓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글루코시놀레이트 배추 추출물을 처리한 간세포의 지방 축적량이 80% 감소했으며, 고지방 식이를 한 실험쥐에서도 간 무게와 내장지방 축적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체내에서 이소티오시인산으로 전환돼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게 되는데, 고글루코시놀레이트 배추의 전환율은 브로콜리보다 최대 1.8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농진청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인체 적용 시험과 기능성 인증을 통해 기능성 쌈배추를 상품화할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요리법에 맞는 품종 개발과 수확 후 저장성 개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치명적인 폐 손상 질환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을 개선할 수 있는 엉겅퀴 추출물을 발견했다. 12일 한국식품연구원은 엉겅퀴 추출물이 면역세포의 과도한 염증활성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해 폐 손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ARDS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단일치료제가 없어 산소 공급이나 기계적 인공호흡에 의존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ARDS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식품연 연구팀은 생쥐에게 박테리아 독소를 주입해 ARDS 모델을 만든 후 엉겅퀴 추출물을 급여한 결과, 염증세포 침윤, 폐포벽 두꺼워짐, 히알린막 형성 등 주요 병리증상이 개선됨을 확인했다. 특히, 엉겅퀴 추출물은 ARDS의 주요 병리기전인 NLRP3 인플라마솜 활성화 및 HIF1α 저산소 스트레스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엉겅퀴의 항염 효과를 입증하는 세계 최초의 연구 결과로, 전통 약용 식물이 염증성 폐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Phytomedicine'에 게재됐으며, 연구팀은 엉겅퀴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