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북지역 실물경제가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8일 발표한 '최근 전북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2025년 5월 전북지역 제조업 생산은 화학제품과 자동차를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4.3% 감소했다.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월대비 6.7% 감소했다. 대형소매점 판매 역시 전년동월대비 8.7% 줄어들었고,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도 6.9% 감소했다. 건축 착공 면적은 대폭 증가했으나, 건축 허가 면적은 7.9% 감소하며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했다. 수출은 5월에 5.2억 달러로 집계됐으며, 농약·의약품, 건설광산 기계를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4.6% 감소했다. 이 같은 수출 부진은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 상황도 좋지 않다. 5월 전북지역 취업자 수는 9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64.0%로 전년대비 1.2%포인트 하락했으며, 실업률은 2.6%로 변화가 없었다. 물가 상황에서는 2025년 6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2.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매 가격은 전월대비 0.04% 상승했지만, 전세 가격은
(한국은행=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2025년 6월 전북지역의 제조업과 비제조업 기업심리지수(CBSI)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26일 발표한 '2025년 6월 전북지역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의 경우, 6월 기업심리지수는 전월보다 6.1포인트 하락한 89.0을 기록했으며, 비제조업은 10.3포인트 떨어진 79.2를 기록했다. 이러한 하락세는 내수 부진과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에서는 제품 재고와 자금 사정의 악화가 지수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제품 재고 지수는 4.2포인트 하락했으며, 자금 사정은 1.3포인트 떨어졌다. 신규 수주와 생산도 각각 0.7포인트, 0.2포인트 감소하며 전체적인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 7월 전망지수는 89.4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다. 비제조업 분야에서는 채산성과 자금 사정이 크게 악화됐다. 채산성 지수는 3.5포인트 하락했으며, 자금 사정은 3.4포인트 떨어졌다. 매출과 업황도 각각 1.4포인트, 2.0포인트 하락하며, 전반적인 부진을 보여주고 있다. 7월 전망지수는 78.2로, 여전히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북지역의 경제 지표가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최근 전북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4월 전북지역 제조업 생산은 1차금속과 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2.1% 증가했다.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월대비 2.3% 상승한 수치다. 그러나 대형소매점의 판매는 같은 기간 10.2% 감소했고, 건축착공면적과 건축허가면적도 각각 63.6%와 10.0% 줄어들며 수요 부문에서는 하락세를 보였다. 수출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4월 수출액은 6.4억 달러로, 농약 및 의약품, 자동차를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11.4% 증가했다. 그러나 고용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4월 전북지역 취업자 수는 97.7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1만명 감소했으며, 고용률도 64.4%에서 63.2%로 1.2%p 하락했다. 실업률은 전년과 동일한 2.6%를 기록했다. 물가지표도 주목할 만하다. 2025년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0% 상승했다. 4월 중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각각 0.04%와 0.1% 하락했다. 이러한 지표들은 전북지역 경제의 회복세가 아직 불안정하며, 제조업과 수출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