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새만금간척지에서 대규모 산업용 고구마 재배가 시작되면서 국내 원료 자급률 향상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새만금간척지에서 고구마를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관개수 염 농도 기준을 0.4% 이하로 설정하고, 적합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했다고 밝혔다. 농진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 실험에 따르면 염 농도가 0.4% 이하일 때 고구마의 재배가 가능하며 초기 생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지만 이후 정상적으로 회복돼 생장한다. 덩이뿌리 수확용으로는 '호풍미', '소담미', '단자미', 지상부 수확용으로는 '통채루', '소담미'가 수량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풍미'는 헥타르당 약 51톤, '소담미'는 39톤, '단자미'는 28톤의 덩이뿌리 생체수량을 기록했다. 또한 '통채루'의 지상부 말린 수량은 헥타르당 약 7톤으로 가장 많았다. 고구마 식물체의 나트륨 함량은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으며 덩이뿌리에서 더 많이 축적됐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간척지에서 재배된 고구마는 식용보다는 산업용으로 적합하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염 농도는 고구마의 기능성 성분에도 영향을 미쳤다. 루테인 함량은 관개수 염 농도 0.2%에서, 폴리페
(완주=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은 콩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생육 초기 관리 방법과 병해충 방제 요령을 제시하며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콩을 이모작으로 재배할 경우, 적절한 파종 시기는 6월 하순이다. 파종 시기가 너무 빠르면 식물체가 웃자라 쓰러질 수 있으며, 너무 늦으면 꼬투리 형성이 줄어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재배지 내 배수로를 설치해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하고, 침수에 취약한 논은 비가 오기 전 파종을 마쳐야 한다. 파종 후 3일 이내에는 토양처리 제초제를 사용해 잡초를 방제하고, 이후에는 화본과 잡초와 그 밖의 잡초에 등록된 제초제를 뿌려 관리한다. 콩 생육 초기에는 역병, 시들음병, 모잘록병 등의 병 발생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이상기상으로 인해 새로운 원인균에 의한 병이 보고되고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생육 초기에는 또한, 거세미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의 해충이 발생하기 쉬워 초기 방제가 중요하다. 나방류는 어린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끼쳐, 애벌레가 커지기 전에 등록 약제를 사용해 방제해야 한다. 총채벌레와 진딧물 역시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고 심각한 경우 식물체를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