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은행장학문화재단이 주최한 뮤지컬 '딥페이크 지금 우리 학교는'이 전주 해성중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공연은 JB금융그룹 전북은행의 후원으로 마련됐으며, 중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딥페이크'는 청소년의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소재로 삼아, 디지털 시대의 혼란과 고민을 담았다. 학생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디지털 기술의 편리함 속에서 가짜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우게 됐다. 한 학생은 공연 후 "디지털 기술의 편리함 만큼이나 가짜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학교에서 이런 뮤지컬을 관람할 수 있어 정말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북은행장학문화재단 관계자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이슈와 인문학적 성찰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뮤지컬 형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뮤지컬로 배우는 JB 인문학콘서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북은행장학문화재단이 지난 12일 익산 남성고등학교에서 '2025 JB인문학 강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에는 두끼 떡볶이 김관훈 대표가 초청돼 '여러분들의 이야기를 적어본 적이 있나요?'라는 주제로 230명의 고등학생들에게 강연을 펼쳤다. 김관훈 대표는 자신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전하며, 떡볶이 동호회 카페를 시작으로 브랜드를 성장시키기까지의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특히 청소년 시기에는 진로 선택을 넘어 스스로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용기를 내어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10년 단위로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고, 비교적 쉬운 것부터 하나씩 실천해 나가보길 권한다"고 조언했다. 강연에 참여한 학생들은 "창업 이야기를 인문학적 시각에서 들을 수 있어 색다르고 감동적이었다"며, "삶에 대한 태도와 생각을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전했다. 전북은행장학문화재단은 매년 'JB인문학 강좌'를 통해 도내 청소년들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문화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97회에 걸쳐 약 2만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