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전북경제) 박철의 기자 = 익산시 간판정비 사업에서 시작된 수사가 전방위 로비 의혹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사건은 익산시청 회계과장 차량에서 발견된 현금 9000만원이 여러 업체로부터 건네진 것으로 밝혀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경찰은 해당 현금 다발의 용도와 최종 목적지를 밝히기 위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달 28일 익산시청 회계과장이 긴급 체포된 가운데, 이 사건은 지난 7일 익산의 한 콘크리트업체 대표가 경찰 압수수색 이후 숨진 채 발견되며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경찰은 구속된 회계과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거액의 현금이 콘크리트 및 환경 등 여러 업종의 업체들로부터 받은 것이라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익산시청 인사 관행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회계과장은 해당 부서에서 4년간 근무하며 이례적으로 내부 승진을 거쳤고, 이로 인해 최고 인사권자인 익산시장과의 관련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경찰은 현재 회계과장을 뇌물수수 및 증거인멸 교사 혐의로 구속 송치했으며,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익산=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익산시가 발주한 2035 익산도시관리 계획 재정비 수립용역이 14억5000만원 규모로 진행되는 가운데, 이 용역이 특정업체에 대한 특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익산시는 기존의 PQ(입찰자격 사전심사) 방식을 벗어나 제안서 평가방식을 채택했으며, 이에 대한 의혹이 업계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북자치도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 사업수행능력 평가 기준에 따르면, 10억원 이상의 용역입찰은 PQ 방식으로 발주하도록 명시돼 있다. 하지만 익산시는 "실력 있는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제안서 평가방식을 채택했다고 설명하며, 일부에서 제기하는 특혜 의혹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또한, 익산시 관계자는 "향후 익산시의 도시발전을 좌우할 중요한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익산시 도시개발과 김대영 과장은 "기존의 용역 선정 절차가 대형 업체의 실적 위주로 진행돼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상태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지역을 잘 아는 업체를 평가해 선정하는 방식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과 일부 다른 시군에서도 이미 시행되고 있는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김 과장은 "이번 조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