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전북제일) 이찬우 기자 = 군산해양경찰서는 해루질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키위해 특별한 손목밴드를 제작해 배포한다. 이 손목밴드는 물때와 기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 시 구조요청이 가능한 '해로드' 애플리케이션의 QR코드가 포함돼 있다. 특히, 야간에도 자신의 위치를 쉽게 알릴 수 있도록 LED 발광 기능이 장착돼 있다. 해루질은 주로 밤에 얕은 바다나 갯벌에서 어패류를 잡는 활동으로, 해루질 도중 밀물에 고립되어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에는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 인근에서 해루질하던 70대가 밀물에 고립돼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군산해경은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손목에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손목밴드를 다음 달부터 관광객과 현장 체험학습 참여자 등에게 지급할 계획이다. 군산해경 관계자는 "해루질을 하는 분들도 사전에 물때를 반드시 확인하는 등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며 "해루질을 즐기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자광=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전국적으로 싱크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전주 옛 대한방직공장 부지에 초고층 타워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건설될 예정이어서 시민들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곳에 143층 랜드마크 타워와 3399세대의 공동주택을 짓기위해 지하 5층 규모로 땅을 파헤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주 시민들은 안전 문제를 지적하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서부신시가지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지하 5층까지 파헤치는 공사가 물의 흐름을 바꾸어 인근 아파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발생한 광명의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와 유사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우려다. 다른 시민들도 싱크홀 현상과 관련해 공사로 인한 안전 위협을 걱정하며, 전주시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하고 있다. 서울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는 노후된 상하수도관과 지하 굴착공사가 지목되고 있으며, 이는 전주에서도 같은 우려를 낳고 있다. 전주시민들은 자광의 사업계획승인 신청서 검토 시, 전주시가 신중한 접근과 철저한 안전 점검을 통해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