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은 7월21일부터 8월31일까지를 '주요 과수 탄저병 중점관리 기간'으로 설정하고, 사과, 복숭아, 단감 주산지인 5개 도, 20개 시군에서 예방관찰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2023년 주요 과수 주산지에서 발생한 탄저병 피해에 대응키 위한 것으로, 중앙과 지방 농촌진흥기관이 병해충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과수 농가와 함께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올해 5월부터 7월 중순까지 주요 과수 주산지 65개 시군, 325개 관찰포의 탄저병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지난해에 비해 경미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농가의 적극적인 예찰과 방제 노력, 7월 초순까지의 고온 건조한 날씨와 적은 강수량이 탄저병 발생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한 결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최근 내린 폭우와 수확 시기까지의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될 경우, 탄저병 확산 우려가 커져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번 중점관리 기간 동안 농진청은 관찰포를 325개소에서 430개소로 확대하고, 발생 조사 주기를 15일에서 7일로 단축해 보다 면밀한 상황 파악에 나선다. 지역별 탄저병 발생 상황에 맞는 방제 대책도 신속히 전달해 적시 방제를 유도할 방침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폭염과 장마로 인해 축사 내 전력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기설비 고장과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및 정전 사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전국 축사에서 발생한 화재 365건 중 77%가 전기적 요인과 부주의로 발생했으며, 이는 분전반이나 차단기 등 전기설비 근처에서 주로 발생했다. 각 지역 지자체는 노후 축사와 화재 취약 농가를 대상으로 전기 배선과 차단기, 분전반 등의 개보수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농가들은 플러그, 콘센트, 배선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습기로 인한 누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막을 설치해야 한다. 정전은 가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농가에서는 정전 경보기를 설치하고, 전력 수요의 120% 이상을 감당할 수 있는 자가 발전기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발전기 상태와 연료를 주 1회 이상 점검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 낙뢰도 화재와 전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피뢰침을 설치하고 작동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장길원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스마트축산환경과장은 "올여름에도 폭염과 집중호우가 잦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농가에서는 장마철을 앞두고 전기 설비와 정전대비 체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