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의회 전윤미 의원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이번에는 남편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남긴 댓글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을 만들어도 소상공인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는 발언은 곤경에 처한 이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전형적인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이다.
소상공인들이 왜 참여하지 못했는지, 어떤 현실적 장벽이 있었는지는 애써 외면한 채, 단순히 “노력이 부족하다”는 식으로 몰아붙였다.
생존을 위해 하루하루를 버티는 이들에게 이는 모욕이나 다름없다.
더욱이 공적 자금을 다루는 시의원 가족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는 점에서 무게가 다르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전윤미 의원 부부가 운영하는 미용실이 실제로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공적 지원이 사적 이익으로 흘러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짙어졌다.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책의 취지가 ‘혈세 나눠 먹기’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정치인의 가족은 단순한 사인이 아니다.
공적 신뢰를 지탱하는 위치에 선 만큼 언행 하나하나가 시민의 눈길을 받는다.
이번 사태에서 보듯, 성과는 자기 공으로 돌리고 실패는 소상공인에게 떠넘기는 태도는 용납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책임 회피성 해명이 아니라 냉철한 성찰이다.
시민들은 더 이상 ‘남 탓 정치’, ‘사익 정치’를 참아내지 않는다.
전윤미 의원은 이번 사태를 분수령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남는 것은 의정 신뢰의 붕괴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