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광=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옛 대한방직 부지에 대한 대규모 민간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주)자광이 전주시에 3399세대의 주상복합 단지 개발을 위한 사업계획승인 신청서를 지난 21일 제출했다.
자광은 랜드마크 타워와 오피스텔을 포함한 이 프로젝트가 전주권에서 글로벌 중심의 랜드마크로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전주시도 이미 통합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이 사업에 대해 본격적인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자광의 시공 능력과 특혜 논란이 불거지면서 사업 추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자광은 지난해 이번 개발로 발생할 이익금 중 3855억원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겠다는 협약을 전주시와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라 자광은 토지가치 상승분 2528억원 중 1100억원을 공공 기반 시설에 투입하고, 나머지는 공사 기간 중 현금으로 나눠 납부할 예정이다.
또한 전주미술관 건립과 주차장 기부채납, 소외계층 지원 등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공공기여 방안도 포함돼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자광의 시공사 선정과 관련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자광측은 최근 1군 건설사와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시공사를 최종 확정하지 않았다.
시공사 선정 전 착공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물리적인 시간은 남아있지만, 전주시의 사업계획 승인 절차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승인 절차가 지연될 경우, 일반분양 일정도 내년으로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자광측은 사업계획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앞으로 재해영향평가 등 다양한 평가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통, 소방, 환경분야의 여러 부서들과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절차는 복잡하고 다단계적이기 때문에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특히 보완 지시가 내려질 경우, 승인 관련 시일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번 개발사업은 전주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 과정에서의 지연과 변수들이 사업의 성공 여부를 가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사업자 측의 인허가 요건이 충족되면 절차대로 허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최종승인은 각종 평가와 관련 부서의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