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 지난해보다 빨리 날아왔다...철저한 예찰과 방제 필수

  • 등록 2025.07.10 11:12:52
크게보기

남부지역 논에서 벼멸구 조기발견
전국 농가 철저한 사전예방 관찰·방제 요구
중국 예찰포 벼멸구 발생량 급증
국내유입 가능성 높아

(농진청=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벼멸구가 지난해보다 빠르게 국내에 유입되면서 농촌진흥청은 전국의 벼 재배 농가들에게 철저한 사전 예방관찰과 방제를 촉구했다.

 

9일 농진청에 따르면 서해안과 전남지역 일부 논에서 벼멸구가 확인됐으며, 이는 6월17일부터 24일 사이에 날아온 것으로 밝혀졌다.

 

벼멸구는 중국 남부에서 발생해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이동하는 해충으로, 벼 줄기에 붙어 즙을 빨아 먹어 피해가 심할 경우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농진청은 벼멸구의 성충이 7월13일부터 15일 사이에 집중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최근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벼멸구의 세대 증식이 빨라질 것으로 우려돼 예년보다 방제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아시아 비래해충 예찰 협력사업'을 통해 중국 내 예찰포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벼멸구 발생량은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와 가까운 중국 강소성 지역에서는 애멸구 발생량이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철저한 사전 예찰과 적기 방제가 더욱 중요해졌다.

 

벼멸구 방제는 벼 재배지 내 발생 밀도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벼 포기당 2마리 이상의 약충 또는 성충이 보이면 방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간주, 본격적인 방제를 시작해야 한다.

 

방제 시에는 반드시 등록된 약제를 사용하고, 작용기작이 다른 계통을 번갈아 사용하며, 기온이 낮고 바람이 약한 아침 시간대에 살포해야 한다.

 

또한, 출수 전에는 항공방제를, 출수기 이후에는 광역방제기를 활용해 방제 효과를 높여야 한다.

 

농진청은 병해충 전문가로 구성된 '농작물 병해충 중앙예찰단'과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서남해안 4개 도 20개 시군에서 합동 예찰을 추진하고 적기방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진청 권철희 농촌지원국장은 "벼멸구는 여름철 고온이 지속되면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확산 속도가 빨라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다"며 "7월 중순은 예찰과 방제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철저한 사전 예찰과 방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전화 : 010-6886-5000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제일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상선 기자 bmw1972@jjilnews.kr
Copyright @전북제일인터넷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전북제일은 전북에서 기자 위에 기자가 목표

8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 201호 | (주)전북제일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전북,아00114| 등록일 : 2024년 8월 7일 | 발행인 : 진재석 | 편집인 : 진재석 | 전화번호 : 063-283-2700
Copyright @전북제일인터넷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 전북은행 1013-01-1221544 (주)전북제일인터넷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