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추진하는 도시공원 조성 사업이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녹지를 확충하는 일은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다. 삭막한 도심에 푸른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단순히 미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 건강과 공동체 회복, 나아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과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공원의 필요성에 이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추진 과정에서 시민들의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공원 조성 과정에서 민간자본 의존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크다. 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서둘러 추진된 ‘민간특례사업’은 공원의 상당 부분을 아파트 단지나 상업시설로 전환하는 방식이어서, 공원 본래의 취지와는 괴리가 크다.
시민들은 공원을 원했는데 결과적으로는 대규모 개발사업이 뒤따르는 형국이 된 것이다. 녹지를 지키겠다던 사업이 오히려 난개발의 빌미가 되고 있다는 비판은 결코 가볍지 않다.
둘째, 행정 절차상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여전하다. 공청회와 설명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었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특정 사업자의 이익이 과도하게 반영된 것은 아닌지, 조성 후 유지·관리 재원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증 또한 부족하다.
이는 앞으로 공원이 진정으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지, 아니면 일부 계층만의 편익 공간으로 남을지를 가르는 중대한 문제다.
셋째, 도시공원은 무엇보다 생태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어야 한다. 단순히 나무를 심고 산책로를 내는 차원에서 머물러서는 안 된다.
기후위기 시대에 도시공원은 탄소 흡수원, 폭염 완화, 생물다양성 보전이라는 다층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개발의 보상물처럼 취급한다면, 환경도시 전주라는 비전은 공허한 구호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전주시는 지금이라도 시민사회의 목소리에 진정성 있게 귀 기울여야 한다. 단기적 이해관계에 매몰된 채 사업을 강행한다면 장기적으로 도시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다.
도시공원이 시민의 숲으로 남기 위해서는 행정의 성급함을 거두고, 시민 참여와 공론의 장을 더욱 폭넓게 마련해야 한다.
녹지는 되돌릴 수 없는 자산이다. 지금의 선택이 곧 미래 세대의 삶터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전주시는 잊지 말아야 한다.
도시공원은 개발 이익이 아니라 시민 모두의 공동 자산이자 생명선임을 분명히 새겨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