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일부 기능의 수도권 이전 시도가 무산된 과정에서, 한 언론이 “국토부의 초동 대응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보도를 내놓았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실제로 상황을 가장 먼저 포착하고 공론화한 것은 국토부가 아니라 농진청 출입 기자였다.
현장에서 발 빠르게 움직인 기자의 제보와 확인이 없었다면, 농진청의 조직 개편 계획은 수면 아래에서 조용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다.
기자가 전북도와 긴밀히 접촉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린 덕분에 도와 관계기관이 대응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이전 계획은 제동이 걸렸다.
문제는 오보다.
특정 정치인이나 부처의 공으로 포장된 보도는 진실을 왜곡하고, 실제 역할을 한 주체를 지워버린다.
이는 단순한 사실 오류를 넘어 언론의 책무와 신뢰를 스스로 훼손하는 행위다.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중대한 사안에서 기록의 왜곡은 향후 정책 판단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농진청은 전북 농생명 산업의 심장과도 같은 기관이다.
일부 기능의 수도권 회귀는 단순한 인력 이동이 아니라, 지역 혁신 생태계 자체를 흔드는 문제다.
그만큼 이번 사안을 최초로 드러내고 막아낸 기자의 역할은 가볍게 볼 수 없다.
정치적 서사에 맞춰 사실을 덮어서는 안 된다.
언론은 현장 기자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공적 기록을 정확히 남겨야 한다.
농진청 이전 저지의 공은 국토부가 아니라 현장 기자에게 있다.
이번 사례는 '언론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기록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다시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