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이전 계획 저지, 국토부 아닌 현장 기자의 활약

  • 등록 2025.08.25 14:01:11
크게보기

오보로 왜곡된 공적 책임
정확한 취재와 사실 검증이 신뢰의 출발점

(농진청=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최근 한 매체가 보도한 "국토부의 초동 대응이 농진청 이전 계획을 저지했다"는 기사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는 국토부의 정책 개입이 아닌, 현장에서 농진청을 출입하는 도내 한 방송 기자의 발 빠른 확인과 공론화 과정이 문제 제기의 출발점이었다.

 

해당 보도는 국회 국토위 전체회의에서 김윤덕 장관의 역할을 부각하며, 마치 국토부가 수도권 이전을 차단한 주체인 것처럼 서술했다.

 

그러나 실제 상황은 달랐다.

농진청 출입 기자가 이전 계획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전북도와 공유했으며, 이를 통해 전북도가 대응 논리를 마련할 수 있었다.

 

즉, 첫 대응의 무게 중심은 관료·정치권이 아니라 현장 취재 기자에게 있었다.

 

경제지 시각에서 보면, 이는 정책 의사결정의 흐름을 왜곡시키는 심각한 오보다.

 

정치권에 공을 돌린 보도는 현장의 견제 장치를 무시하고, 지역 균형발전 논의의 실질적 동력을 희석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한 행정 이슈를 넘어,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의 지속성장과 직결된다.

 

특히, 농진청은 전북 농생명 산업의 핵심 축으로, 일부 기능의 수도권 회귀는 지역 혁신 클러스터의 와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보는 정책적 책임의 주체를 흐림으로써, 향후 유사 사안에서 지자체와 지역 언론의 역할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경제적 관점에서 이는 지역 투자자·기업·연구기관의 신뢰 하락으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례는 언론이 현장 취재와 사실 검증없이 정치권의 발언만을 의존했을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첫째, 현장 기자의 기민한 대응이 정책 저지의 핵심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적 행위자의 기여가 왜곡됐다.

 

둘째, 정치적 서사에 맞춘 보도는 지역 경제 주체들의 신뢰를 훼손한다.

 

셋째, 장기적으로는 균형발전 정책 자체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을 키울 수 있다.

 

농진청 이전 계획 저지는 단순히 한 기관의 조직 개편을 넘어, 전북 농생명 산업의 미래와 직결된 사안이다.

 

이 과정에서 현장 기자의 역할은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견제 장치였다.

 

경제지적 시각에서 분명한 교훈은 하나다.

 

정확한 사실 확인과 책임있는 보도가 곧 지역 경제의 신뢰 자산이라는 점이다.

 

언론이 이 원칙을 지킬 때만이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정책의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다.

이상선 기자 bmw1972@jjilnews.kr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 201호 | (주)전북경제신문
등록번호: 전북,아00114| 등록일 : 2024년 8월 7일 | 발행인 : 진재석 | 편집인 : 진재석 | 전화번호 : 063-283-2700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 전북은행 1013-01-1221544 (주)전북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