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공항 흔드는 무책임한 반대, 국가 경쟁력 저해할 뿐이다

  • 등록 2025.09.25 17:48:10
크게보기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새만금공항 건설은 단순한 지역 SOC 사업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과제다.

 

낙후된 전북을 위한 지역 편의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산업지형을 재편하고 수도권 과밀을 완화할 국가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본질적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단체들이 공항 건설을 ‘적자’와 ‘환경 훼손’의 프레임으로 매도하는 것은 사실과 경제 논리를 외면한, 무책임한 정치적 행태일 뿐이다

 

정책적 관점에서 보자면, 새만금 개발은 정부가 수십 년 동안 일관되게 추진해온 초대형 국책 프로젝트다.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그린산단, RE100 산업기지, 수출 제조단지로 기능하려면 국제공항은 필수 인프라다.
항공 물류와 글로벌 기업 유치는 공항 없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지리적으로도 동북아 물류 네트워크의 중심축에 위치한 새만금이 공항을 갖추지 못한다면, 국가가 그간 쏟아부은 막대한 개발 비용은 반쪽짜리 투자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를 외면하는 것은 국가 정책 일관성과 투자 효율성 모두를 무시하는 퇴행적 주장이다.경제적 논리 또한 공항 건설을 뒷받침한다.
새만금은 국가 차원에서 조성되는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이자 글로벌 기업 투자의 거점으로 설계됐다. 국제기업과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내는 데 공항 인프라는 결정적 조건이다.

 

관광유치와 고부가가치 물류산업 육성 효과 역시 단순히 지방경제 회복을 넘어 국가 GDP 성장에 기여한다.
오히려 공항 건설을 지연시킬 경우 정부가 추진 중인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및 첨단산업 프로젝트는 국제 경쟁에서 뒤처지고, 소모된 개발비용은 ‘매몰비용’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

 

반대 세력이 내세우는 ‘적자 공항’ 주장은 과거 지방공항 사례를 기계적으로 끌어다 붙인 오류다.
오늘날의 공항은 항공수송뿐 아니라 복합 물류, 첨단산업단지, 국제컨벤션 기능과 결합한다.
단순 여객 수익성만으로 타당성을 재단하는 것은 어리석은 경제 논리다.

 

환경 논란 또한 과학적이고 제도적인 검증 절차 속에서 이미 관리되고 있다. 국가가 수립한 환경영향평가와 탄소중립 로드맵을 무시한 채 ‘개발=훼손’이라는 이분법을 강변하는 것은 미래산업의 눈을 스스로 가리는 행위다.

 

국가 균형발전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의 위기는 이미 국가적 재앙 수준에 달했다.
새만금공항은 이를 극복할 핵심 정책 도구이며, 반대를 위한 반대는 곧 국가 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근거 없는 반대와 지역 폄하에 흔들릴 것이 아니라, 경제 논리와 정책 일관성을 중심에 두고 새만금공항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은 망설임이 아니라 결단이다. 이제 새만금공항 건설을 흔드는 소모적 논란을 끝내고, 국가 균형발전의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조계철 기자 chonho89@jjilnews.kr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 201호 | (주)전북경제신문
등록번호: 전북,아00114| 등록일 : 2024년 8월 7일 | 발행인 : 진재석 | 편집인 : 진재석 | 전화번호 : 063-283-2700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 전북은행 1013-01-1221544 (주)전북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