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전북 경제를 살려야 할 책무를 지닌 공무원들이 정작 앞장서서 지역을 외면하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
관급 발주와 물품 조달에서 지역 기업을 외면한 채 수도권과 타지역 업체에 계약을 몰아주는 작태는 전북 경제의 피를 말리는 배신 행위다.
이는 단순한 행정 편의가 아니다.
전북도청과 14개시군 공무원들의 무책임한 발주 행위는 지역 공동체의 뼈대를 허물고, 일자리와 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파괴하는 범죄적 직무유기다.
애초부터 특정 외부업체가 낙찰받을 수밖에 없도록 설계를 짜놓거나, 지역 기업이 애당초 참여조차 할 수 없는 규격을 강요하는 행위는 공정성을 짓밟는 제도적 기만이고 직권남용이다.
도내 기업 환경이 열악하다는 사실은 공직자 스스로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살리기는커녕 스스로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다는 것은 공무원으로서 최소한의 양심마저 내팽개친 것이다.
이는 ‘지역 봉사자’가 아니라 ‘지역 파괴자’가 되어 버린 꼴이다.
오늘날 전북은 지방 소멸 위기 앞에서 버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공무원들이 “기술력이 우수하다”는 말로 포장하며 수도권 업체만 챙긴다면, 이는 명백히 변명에 불과하다.
기술력 탓을 대면서 지역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것은 지역경제를 스스로 사지로 몰아넣는 행위다.
지역이 뒤처진 원인이 구조적 한계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지역을 외면해온 공무원사회의 적나라한 민낯이 더 큰 주범이다.
관급 발주는 결코 개인적 기호나 편의 차원이 아니다. 그것은 곧 지역경제의 생명줄이며, 지역민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그럼에도 이를 외면하는 순간, 공무원은 ‘행정가’가 아니라 ‘지역경제 살인자’로 낙인찍힐 수밖에 없다.
전북특별자치도와 14개시군은 당장 지역 발주 비율을 제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참여 기회를 지역 기업에 보장하고, 투명성을 높이며,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철저한 점검과 징계와 엄중조치를 가해야 한다.
더 이상 솜방망이식 권고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제도적 강제성과 공직자의 책임성 강화 없이는 전북의 미래는 없다.
경고한다.
전북 발전의 걸림돌이 외부가 아닌 내부 공무원일 수는 없다.
지역을 배신하는 발주는 곧 전북을 무너뜨리는 자해 행위다.
지역을 살리는 발주야말로 공무원의 최소한의 양심이자 책무다.
전북 공무원들은 더 늦기 전에 이 단순하고 명확한 진실을 직시하고 양심을 행동으로 입증하지 않는순간, 그것은 비겁한 위선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