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해치는 전북 공무원들의 발주 관행, 언제까지 두고 볼 것인가!

  • 등록 2025.09.22 14:51:04
크게보기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지역경제를 살려야 할 책임을 지닌 전북 공무원들이 정작 가장 앞장서서 지역을 외면하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

 

도내 공사와 물품 조달이 이뤄질 때 지역 기업을 외면하고 수도권이나 타 지역 업체에 계약을 몰아주면서 전북 경제는 ‘피 빠진 몸’처럼 힘을 잃어가고 있다.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는 주범이 외부가 아니라 바로 내부 공직사회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공무원의 발주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지역 업체의 경쟁력과 일자리는 관급 발주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일부 공무원들은 ‘제품이 우수하고 기술력이 뛰어나다’ 라는 명분 뒤에 숨어 지역 업체의 기회는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공정한 경쟁 절차조차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애초부터 특정 외부업체가 낙찰받을 수밖에 없는 조건을 내세우거나, 지역 업체가 진입조차 어려운 규격을 고집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는 명백한 직무 태만이며 지역을 살려야 할 공직자의 책무를 저버린 행위다.

 

전북은 수도권과 달리 산업 기반이 약하고 기업 여건이 열악하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지역 순환경제의 뿌리를 키워야 할 책무가 엄중하다.

 

지역 자본의 지역 내 선순환을 강화해야 전북 경제의 토대가 견고해진다. 그러나 공무원들의 안이한 태도로 지방 소멸 위기만 재촉하고 있다면, 이는 직무유기이며 나아가 무책임한 ‘지역 배신 행위’다.

 

관급 발주는 결코 개인적 성향이나 편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전북 공무원 스스로가 지역 경제 활성화의 최전선에 서 있다는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전북이 기술과 산업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는 이유가 구조적 한계만이 아닌, 지역을 외면해온 공무원들의 ‘민낯’ 때문이라는 비판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변명도, 땜질식 개선도 아니다. 도와 시군은 지역 발주 비율을 제도적으로 강화하고, 이를 철저히 점검·평가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 업체의 참여를 보장하는 강제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공무원들의 발주 행위가 지역경제 파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알리며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경고한다.

 

전북 발전의 걸림돌이 외부가 아닌 공무원 스스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지역을 제대로 살리는 발주, 그것이 공직자의 최소한의 양심이며, 전북 경제 재도약의 첫걸음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조계철 기자 chonho89@jjilnews.kr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 201호 | (주)전북경제신문
등록번호: 전북,아00114| 등록일 : 2024년 8월 7일 | 발행인 : 진재석 | 편집인 : 진재석 | 전화번호 : 063-283-2700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 전북은행 1013-01-1221544 (주)전북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