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절반 이상 부실 위험, 전북 금융안전망 전면 재검토해야

  • 등록 2025.09.11 10:41:25
크게보기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전북지역 새마을금고의 절반 이상이 부실 위험에 놓였다는 사실은 단순한 금융 불안이 아니라 제도적 결함과 감독 실패를 드러내는 신호다.
새마을금고는 서민과 소상공인의 생활 금융 기반인데, 그 중 절반이 붕괴 조짐을 보인다는 것은 지역 경제의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조적 문제와 감독 소홀
이번 위기의 본질은 개별 금고의 운영 미숙만이 아니다. 중앙회와 금융당국은 이미 장기간 나타난 건전성 지표 악화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고, 지역별 취약성을 방치했다. 체계적 리스크 관리 없이 금고 간 규모 격차와 부동산 편중 대출을 묵인한 결과, 지금과 같은 불안이 표면화된 것이다.

 

지역경제 악영향
새마을금고의 불안은 단순한 금융기관의 손실로 그치지 않는다. 자금 순환의 병목은 상공인과 농업 자금 유동성에 타격을 입히고, 예금자의 불신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전북 경제는 수도권에 비해 금융 인프라 다변성이 약한 만큼, 새마을금고의 동요가 곧 지역경제 전반의 불안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다.

 

필요 개혁 방향
금융당국은 부실 위험 금고의 정확한 실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선제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 포괄적 구조조정과 함께 예금자 보호 장치 강화, 부동산 편중 대출 규제, 중앙회의 감독 책임 명확화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비상대책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지역 금융 시스템을 위한 개혁 과제다.
이제 문제는 “위험”을 지적하는 데서 끝나서는 안 된다.
구조적 취약성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같은 위기는 다시 반복될 뿐이다. 전북의 새마을금고 사태는 금융 관리의 허구를 보여주는 경고다. 냉정한 현실 진단과 근본적 개혁만이 지역 금융의 신뢰를 되살릴 수 있다.
 

조계철 기자 chonho89@jjilnews.kr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동2길 1, 201호 | (주)전북경제신문
등록번호: 전북,아00114| 등록일 : 2024년 8월 7일 | 발행인 : 진재석 | 편집인 : 진재석 | 전화번호 : 063-283-2700
Copyright @(주)전북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후원계좌 : 전북은행 1013-01-1221544 (주)전북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