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제) 김원중 기자 =
전주시가 시민 누구나 일상에서 정신건강 서비스를 누리는 ‘정신건강 으뜸도시’ 청사진을 내놨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8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35년까지 10년간 1,118억 원을 투입, 예방·돌봄·참여를 아우르는 도시 정신건강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핵심은 보편 접근성과 촘촘한 돌봄이다. 전주시는 전 시민을 대상으로 전문심리상담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60세 이상 시민에게는 매년 최소 1회 치매 검진을 무료 제공한다. 더불어 마을 단위 마음돌봄 교육을 상설화하고, 시민 자원봉사를 통해 나눔 기반의 심신 건강 문화를 확산시킨다.
전주시는 이를 위해 세 갈래의 전략을 사용한다.
첫째, 예방 중심의 의료돌봄 체계를 위해 ‘정신건강 원스톱 플랫폼’을 구축하고 상담 프로그램을 다변화한다. 치료·회복·사회복귀 연계를 강화하고 치매안심도시 정책도 고도화한다.
둘째, 일상 속 마음돌봄을 위해 평생학습 기반 ‘마음 온’ 교육과 시민 축제 ‘마음 온 페스타’를 운영하고, ‘마음 돌봄 힐링 명소’를 발굴·지정한다.
셋째, 나눔 확산을 위해 전 시민 캠페인 ‘온정 한 시간’, 정신건강 특화 ‘온정 토닥토닥 봉사단’을 운영하고 자원봉사 가치인정을 확대한다.
인프라도 확충한다. 시는 2030년까지 현 보건소 부지에 정신건강복지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치매안심센터를 통합한 (가칭) 정신건강통합지원센터를 건립해 접근성과 연계성을 높일 계획이다. 전체 사업은 3대 전략과 10대 과제로 추진되며, 세부 과제는 단계별로 추가 발굴한다.
우범기 시장은 “급격한 사회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시민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커지고 있다”며 “마음돌봄 인프라를 촘촘히 구축해 모두가 안심하고 행복을 누리는 정신건강 선도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 한 분 한 분의 마음을 진심으로 들여다보며 아픔을 위로하고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