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교육청이 특정업체에 교원 컴퓨터 교체 계약을 몰아줬다는 의혹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계약 방식의 변경이 서거석 전 전북교육감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증언이 나왔다.
해당 사업은 2020년과 2022년에 이어 진행된 것으로, 기존에는 도내 전체 물량을 한꺼번에 계약해 여러 업체가 선정되며 쇼핑몰 가격의 80% 수준으로 조달이 가능했다. 그러나 2년 전 계약 방식이 수정되면서 특정업체가 혜택을 받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러한 계약 방식의 변경은 '지역업체 가점'과 '지역구매조례'를 통해 특정업체가 전주와 군산, 익산을 제외한 11개 시군을 독점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냈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전주MBC의 질의에 대해 "지역업체 우대 방식으로 업무 방향을 결정한 사람은 서거석 전 교육감이 맞다"며 "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최종 결정권자의 의견에 따라 업무를 추진했다"고 밝혔다.
서거석 전 교육감은 기존 도교육청이 일괄 계약하는 방식과 14개 시군이 각각 계약하는 방식 중 '지역업체 가점'이 가장 비중 있게 반영될 수 있는 '계약 쪼개기' 방식을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도내 업체가 1곳밖에 없었고, 조달청에 문의까지 했던 상황에서 서 전 교육감이 직접 추진을 지시하고 결재한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교육청 측은 "당시 법에 저촉되는 부분이 없었고, 시군 담당자들이 문제 제기한 사실도 듣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계약 방식 변경이 특정업체에 대한 특혜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미리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문제의 조달업체와 서 전 교육감 간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전주MBC 보도에 따르면 (전주MBC) 취재진의 서면 질의에도 해당 업체와 서 전 교육감은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업체 측은 전주MBC 보도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대응을 예고했다.